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에도 집값 상승의 영향으로 주택 관련 담보대출이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올해 늘어난 가계대출의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 절반이 전세자금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이에 은행들은 상당수 대출 상품 판매를 아예 중단하거나 짧은 기간 대출 금리를 크게 올리는 등 대출 규제에 나서고 있다.

2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KB국민,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 등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6일 기준으로 지난해 말 대비 4.69% 증가한 701조 5,68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이 4.54%(473조 7,849억에서 495조 2,868억원), 신용대출이 6.02%(133조 6,482억에서 141조 7,005억원) 늘었다. 

특히 전세자금대출이 14.74%(105조 2,127억애서 120조 7,251억원)나 급증했다. 전세자금대출 가운데 생활자금대출은 약 2%에도 못 미치고, 나머지 98%는 대부분 집주인 계좌에 대출금이 직접 입금되는 실수요 전세자금대출인 셈이다. 

이 영향으로 올해 5대 은행에서 늘어난 가계대출 31조 4,141억원 가운데, 전세자금은 거의 절반인 49.38%를 차지했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전체 주택담보대출(증가액 21조 5,019억원)의 비중도 68.45%에 달했다. 

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압박에도 지난달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3조 5,068억원, 이달 들어 16일까지 이미 79%인 2조 7,531억원이 증가했다. 같은 달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1조 8,720억원)도 지난달의 전체(3조 8,311억억원)의 49% 수준이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이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NH농협은 지난해 말 대비 관리 목표 5%∼6%를 훌쩍 넘어 7.4%(126조 3,322억에서 135조 6,500억원)에 달했다. 

이에 NH농협은 지난달 24일 이후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신규 담보대출을 전면 제한했다. 아울러 대출 금리를 0.2%포인트 추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말까지 4.62%였던 증가율이 16일 현재 5.04%(125조 3,511억에서 131조 6,681억원)로 영업일 기준 약 2주 만에 0.42%포인트 올라 5%를 넘어섰다.

KB국민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도 같은 기간 3.62%에서 4.37%(161억 8,557억에서 168억 9,222억원)로 급증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6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한도를 일제히 줄이고 금리도 또 올렸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각각 2.83%(126조 2,621억에서 129조 8,406억원), 3.9%(130조 3,528억에서 135조 4,871억원)로 4%를 밑돌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은행 전세자금대출은 올해 들어 21.4%(19조 1,797억에서 23조 2,815억원)로 급증했다. 이에 우리은행은 이달 1일부터 주택담보대출의 우대금리를 0.3%포인트 줄이고, 전세대출 상품의 우대금리 항목도 축소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전셋값 등이 올라 은행으로서 전세자금대출 등 주택 관련 대출 증가를 막기에 역부족인 측면이 있다”라며 “하지만 다른 은행보다 아직 대출 규제가 강하지 않아 풍선효과로 대출 수요가 더 몰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