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루에 오른 세입자들의 이야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사진=SBS '그것이 알고싶다' 캡처

19일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2009년 한강로3가 재개발 지역에서 일어난 참사를 재조명했다. 10년 전 용산4구역 세입자들이 농성 중이던 남일당 건물 옥상에서 국민을 충격에 빠트린 참사가 발생했다. 세입자 5명과 경찰특공대원 1명이 사망한 사건이었다.

참사 발생 후 경찰의 과잉진압을 비난하는 여론이 들끓었지만 사건 두 달 뒤 경찰지휘부의 상당수는 일괄적으로 승진했다. ‘적법한 공무집행’이었다는 대법원 판결로 용산참사 법적 공방은 마침표를 찍었다. 당시 진압과정 총책임자 김석기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은 최근 한 언론인터뷰에서 “그때로 다시 돌아가도 똑같은 결정을 내리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난 1월 14일 민갑룡 경찰청장은 희생자 유가족에게 사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참사의 가해자’로 판결받았던 세입자들의 유족들에게 ‘적법한 공무집행’을 했다는 경찰의 수장이 왜 사과표명까지 언급한 것일까?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그것이 알고싶다’ 제작진이 나섰다.

결국 남은 건 살아남은 사람들의 아픔이었다. 농성 주민들은 당시 한강로 3가에서 철거 위협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들이 살아남을 수 있기 위해서는 망루를 짓는 방법 밖에 없었다. 망루를 짓는데 참여한 사람들은 평범한 자영업자였다. 용역업체가 불을 피우고 그들을 막기 시작했다고 주민들은 주장했다. 하지만 용역업체는 자신들이 원해서 한 게 아니라고 말했다.

사진=SBS '그것이 알고싶다' 캡처

용산참사로 사망한 이상림씨 주머니에는 용산구청이 철거에 대한 요구를 거부했다는 공문이 들어있었다. 철거민의 요구를 들으려고 했던 사람이 있었다. 당시 서울청 정보과 형사였다. 하지만 1월 19일 작성된 계획서에는 협상이 낮다는 내용이 들어있었다. 시작부터 협상은 포기했고 한강로 3가에는 오로지 작전만 있었다.

망루 속에 있었던 사람들은 지옥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사람들은 화재로 아수라장이어서 곁에서 누가 죽고 언제 죽었는지 확인할 겨를이 없었다고 말했다. 용산참사로 인한 임대차보호법이 본의회에 상정된 건 한 건도 없었다. 1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참사로 인한 관리법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화염병을 던질 수밖에 없는 이유, 무작정 철거를 시행하는 현실, 철거민들을 위한 법은 왜 만들어질 수 없는 걸까? 갈 곳 없어 망루 위로 올라갔지만 공권력이 투입돼 참사가 났다. 용산참사로 득을 본 평범한 사람은 없었다. 모두 직장을 잃거나 가족 또는 친구의 죽음으로 큰 상처를 얻었다. 용산참사 속에서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괴물은 과연 누구였을까? 그 괴물이 10년이 지난 현재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