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이 생애 최초 내집 마련까지 걸리는 시같이 평균 7.1년으로 나타났다.
![]() |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12월 표본 6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주거 실태 조사결과를 16일 발표하였다.
발표된 통계에 따르면 '생애최초 주택마련에 걸리는 시간은 7.1년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6.8년, 2016년 6.7년보다 0.2∼0.3년 늘었다.
또한 주거자가점유율은 18년 '자가거주' 가구는 전체 가구의 57.7%로 17년에 이어 조사이래 역대 최고 수준을 유지하였다. 지역별로는 ’17년에 비해 소폭상승(광역시제외)하였으나 대체로 전년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 |
주거비부담은 18년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 구입가격 배수(PriceIncome Ratio)는 전국5.5배(중위수)로,17년(5.6배)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수도권이 6.9배로 광역시 등(5.6배)과도 지역(3.6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다만, 9.13대책 등으로 수도권의 집값은 18년 12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한 점 감안하면, 최근의 시장 안정세가 조사 결과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가장 필요한 주거 지원 프로그램으로는 주택 구입 자금 대출지원(31.7%), 전세 자금 대출지원(18.8%), 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13.6%)등 순으로 주거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점유형태별로 보면, 자가가구 및 전세가구는 '주택구입자금대출 지원'을, 월세 가구는 '전세자금대출지원 및 월세지원'을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프로그램으로 응답하였다.
노이슬 기자 gato1289@sli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