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대 명절 추석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차례를 지내는데 필요한 지방 쓰는 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네이버 캡처

지방은 제사 등을 지낼 때 조상의 위패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 폭 6cm, 길이 22cm 한지(백지)에 글을 적는 방법으로 작성한다.

제사를 지낼 때 부모 중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에는 단독으로 지내는 만큼 지방에도 한분만 쓴다. 그러나 두 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제사를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쓴다. 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쓴다.

제사·차례에 모실 고인이 제주의 아버지면 '考'(고), 어머니면 '妣'(비)라고 쓴다. 조부는 '顯祖考'(현고조), 조모는 '顯祖妣'(현조비)라고 적는다. 고인이 제주의 남편일 경우 '顯辟'(현벽)이라고 쓰고 고인이 아내라면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쓴다.

남자 조상의 직위는 보통 '學生'(학생)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孺人'(유인)이라 쓴다. 이어지는 이름에는 남자 조상은 '府君'(부군)이라 쓰고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를 기록한다.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에는 이름을 적는다. 이후 마지막에 남녀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신위(神位)라고 적으면 지방이 완성된다.

지방은 한자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 한글로 지방을 적는 경우도 늘고 있다. 한자를 우리말로 옮겨 '현고학생부군신위'처럼 쓰거나 아예 '어머님 신위' '아버님 신위' 등으로 간단하게 쓰기도 한다.

 

사진=제사의 달인 앱 캡처

요즘 들어서는 명절을 겨냥한 앱들을 이용하면 편리하게 제사를 지낼 수 있다. ‘제사의 달인’ 앱은 상차림 방법에서부터 제사 순서, 지방 쓰는 방법 등을 지역별로 알아보기 쉽게 정리한 앱이다. 가족이나 친지의 기일을 제사 달력에 등록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친척들과 오랜만에 한 자리에 모이는 명절에는 서로 어떤 호칭으로 불러야 할지 몰라 난감한 경우가 있다. ‘해피트리’는 친가, 외가의 가계도를 바탕으로 나와 친척 간 촌수와 호칭을 알려준다. 또한 가족 기념일 등록, 알람 설정, 글ㆍ사진ㆍ동영상 쓰기 기능을 제공해 가족 간 소통 공간으로서의 활용도가 높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