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가 지나면 전기와 도시가스 요금이 줄줄이 오를 전망이다. 

사진=연합뉴스

1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그간 정부는 높은 물가상승률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경제를 고려해 원가 압박에도 공공요금을 묶어놨던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치솟는 원가 상승 요인을 억제하는 데 한계가 있고, 국가 전체를 볼 때 장기간 요금을 억누르는 것이 득보다 실이 많다고 보고 인상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에 따르면 추석 연휴 이후인 이달 23일께 4분기(10월~12월) 전기요금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정부는 올해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한 이후 2분기와 3분기 연속 동결했으나 4분기에는 인상 쪽에 가닥을 잡고 있다. 

내달 1일부터 적용되는 전기요금은 지난 6월~8월 전기생산에 들어간 연료비를 토대로 결정되는데, 이 기간 연료비는 상승했다.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전력용 연료탄은 올 초 톤당 90달러 안팎에서 5월에는 123달러까지 치솟았고, 이후에도 완만한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국제유가(두바이유)도 올해 2분기 평균 67달러로, 전분기(60달러)보다 상승했다.

산업부는 연료비가 계속 오르는 만큼 이를 어느 정도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원가 변동 요인이 있는 데도 반영하지 않으면 소비 구조가 왜곡된다”라며 “원가가 비싼데도 억지로 가격을 싸게 한 에너지원을 중심으로 소비가 몰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전의 적자가 커지는 점도 부담이다. 한전은 연료비 인상분을 전기요금에 반영하지 못해 올해 2분기에 7,000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 2019년 4분기 이후 6개 분기 만에 적자다.

산업부 관계자는 “공기업이라고 해서 요금 인상 요인을 계속 떠안도록 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지, 장기적으로 국민 생활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 중이고, 본격적인 대선 국면에 접어든 만큼 요금을 올리더라도 소폭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조정 요금은 최대 kWh당 5원 범위내에서 직전 요금 대비 3원까지만 변동된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도시가스 소비자 요금도 인상이 불가피하다. 

도시가스 소매요금은 가스공사의 도매요금에 연동되며, 도매요금은 요금의 약 80%를 차지하는 원료비에 따라 결정된다.

주택용·일반용의 경우 홀수월마다 원료비 변동 요인이 ±3%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업용·발전용은 매월 자동으로 조정한다.

원료비는 국제유가나 환율 등 LNG 도입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반영하는데, 국제적인 LNG 계약 관행상 평균 4개월 전 국제유가가 국내 요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올해 상반기 내내 가파르게 상승한 유가로 인해 원료비가 올랐음에도 정부는 9월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을 동결했다. 지난해 7월 평균 13.1% 인하한 이후 15개월째 묶어놓은 것이다.

지난 5월에도 유가 및 환율 변동으로 5.5%(도매요금 기준)의 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했으나 요금에 반영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