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악공연 관계자들이 정부를 향해 차별 금지를 촉구했다.

사진=대중음악 비대위

공연기획사, 프로덕션 업체, 운영업체, 가수 매니지먼트사 등 관련 종사자들로 구성된 '대중음악공연 정상화를 위한 비대위'는 26일 대정부 호소문을 공개했다.

비대위 측은 호소문을 통해 "한국 대중음악 공연계가 사회적 비명조차 내지르지 못한 채 죽어가고 있다. 대중음악 공연계는 이 사회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코로나19 타격을 입고 지난 1년을 빈사 상태로 보내왔다. 하지만 사회적 관심과 정부의 배려는 늘 뒷전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저희는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는 생각으로 방역 당국에 최대한 협조하고, 고통과 희생을 감내해왔다. 하지만 방역 2.5단계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지금 숨조차 쉬기 힘든 한계 상황"이라고 고충을 전했다.

이들은 "지난해 수많은 공연 기획사와 시스템 업체가 도산했고, 최근 홍대 앞 유명 소극장 3곳이 문을 닫았다. 이들이 사라진다는 것은 오랫동안 축적한 현장 노하우와 음악 네트워크가 한꺼번에 없어지는 것을 뜻한다"며 "우리가 자랑하는 K-팝의 화려한 성공 역시 이런 인프라 위에서 가능 했다. K-팝 산업을 가장 밑에서 떠받치고 있는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또 "지난 1년간 대중음악 공연의 매출은 90%이상 줄었으며, 최근의 방역 단계 기준으로는 공연기획을 해봐야 적자인 상황이다. 이에 더해 대중음악 공연은 집객의 차별까지 받는 이중고를 겪어왔다. 같은 무대 퍼포먼스임에도 불구하고 뮤지컬, 연극, 클래식 공연 등에 비해 훨씬 엄격한 기준 적용을 받아왔다"며 "하지만 지난 1년간 대중음악 공연장에서 관객 간 감염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모두가 다같이 어려운 지금, 저희는 특혜를 바라지 않는다. 다만 방역 당국이 편견없이 저희를 바라보고 최소한 타 장르 공연과 같은 기준으로 집객을 할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 지금까지의 사실로 본다면 공연장은 코로나19의 감염 통로가 아니다"라며 '객석 간 거리 두기 완화'를 촉구했다.

특히 "정부에서 우려하는 관객의 집단 가창과 함성 등은 뮤지컬 공연장도 그 위험이 비슷하게 노출되어 있다. 하지만 유독 대중음악 공연만 그 위험성이 과장되어 왔다. 무대 출연자 규모만 보더라도 대중음악 공연은 뮤지컬에 비해 훨씬 적다"며 "대중음악 공연의 집객 차별을 없애달라"고 요청했다.

더불어 "정부에서 중점관리시설(다중이용시설)로 구분하고 있는 ‘스탠딩 공연장’은 대한민국에 존재하지 않는 공연장이다. 스탠딩 공연이 가능하도록 좌석을 탈착할 수 있는 가변형 공연장이 있을 뿐"이라며 "정부는 스탠딩 공연장이 아니라 스탠딩 공연을 제한해야 한다. 스탠딩 공연장 구분은 지금이라도 즉시 없애 달라"고 말했다.

뿐만아니라 "100석 안팎의 소규모 공연장과 라이브 클럽은 한국 대중음악의 다양성을 지켜온 중요한 문화 생태계다. 최근 홍대 인디 음악씬을 대표하던 공연장 3곳이 재정난을 이기지 못해 문을 닫았다. 오랫동안 시민들에게 대안적 음악을 소개하던, 실험적이고 개성 넘치는 뮤지션들에겐 음악적 보루와 같은 곳이었다. 이 중요한 생태계가 붕괴되고 있다"며 "철저한 방역 지침 준수를 조건으로 소규모 공연장과 라이브 클럽의 집객 기준을 완화해 달라"고 호소했다.

마지막으로 "일반 공연장 외에 체육시설, 전시장, 야외 시설 등에서 공연을 할 경우 객석 설치에 관한 새로운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 대중음악 공연은 일반 공연장이 아닌 다양한 시설을 임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공간들의 단계별 세칙은 공간의 주목적인 전시나 컨벤션, 스포츠 경기 관람에 맞춰져 있어 공연의 집객 기준으로 삼기에는 적당하지 않다"며 "체육시설과 야외 공간 등도 일반 공연장에 준하는 좀 더 구체적인 집객 기준을 적용해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